무선통신연구실
■ 담당교수님 : 김명진 교수님
■ 연구분야 : 신호처리, 무선통신
■ 홈페이지 : http://wlclab.hufs.ac.kr
■ 연구실소개 : WLCLab은 무선 통신에 관하여 연구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다음 분야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Digital Modulation
음성과 같은 아날로그 신호의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전송하기 위해서 변조하는 방식을 말하며, 여러가지 방식 중에서도 샘플링 양자화 부호화의 과정을 거쳐서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는 펄스부호변조방식이 대표적이다.
Digital Signal Processing
디지털 신호를 기계장치가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집적회로를 말한다. 아날로그 신호인 음성을 디지털화 하는 음성 코딩에 사용하기도 한다.
신호처리연구실
■ 담당교수님 : 한희일 교수님
■ 연구분야 : 이미지 처리, 컴퓨터 비전, 멀티미디어
지능형 컴퓨팅 및 네트워킹연구실
■ 담당교수님 : 정성호 교수님
■연구분야 : 무선 인터넷, 차세대 이동통신망
■ 홈페이지 : http://cclab.hufs.ac.kr
■ 연구실소개 : Computer Communications Laboratory
Welcome to the Computer Communications Lab web page of the Depart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Engineering (ICE) at the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HUFS). The major goal of this Lab is to investigate various issues in wireline/wireless networks, mobile computing and multimedia, and to find solutions to the technical problems in these areas. The integration of these technologies will also require solutions to the specific problems that arise with these combined technologies. Currently, our research is focused on advanced multimedia systems for emerging mobile multimedia applications, resource managment mechanisms, cross-layer control mechanisms to improve QoS/QoE in wireless/mobile environments, and enhanced mechanisms to provide seamless mobility between different interfaces in heterogenous networks. We also deal with network monitoring and management, 3D traffic control, telepresense systems, and next generation wireline/wireless networks.
데이터베이스 및 정보시스템 연구실
■ 담당교수님 : 박상원 교수님
■ 연구분야 : 데이터베이스, 플래시메모리, 웹 서비스
■ 홈페이지 : http://dislab.hufs.ac.kr
■ 연구실소개 :
DISLab은 데이터베이스 및 정보 시스템에 관하여 연구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다음 분야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Databas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객체지향형 데이터베이스, XML 데이터베이스 등에서 저장 방법, 질의 처리 및 최적화 방법 등에 관하여 연구하고 있습니다.
Flash Memory 플래시 메모리는 하드 디스크와 달리 한번 기록된 위치에 덮어쓰기(overwrite)를 할 수 없고 읽기/쓰기/소거 등의 연산 속도도 차이가 큽니다. 자동차에 탑재된 내비의 저장장치가 플래시 메모리이고, 지도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저장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특히 자동차에 탑재된 데이터베이스의 효율적인 저장기법에 관하여 연구하고 있습니다.
Mobile System (Smart Phone) 스마트 폰의 등장으로 이동형 컴퓨팅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모바일 기기는 전화기의 역할 이외에도 많은 센서(GPS, 가속도 센서, 광 센서, 지자기 센서, 접촉 센서 등)를 가지고 있어 새로운 서비스(위치 기반 서비스, 증강 현실 등)를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습니다. 이러한 이동형 기기에서의 스마트 서비스, 이동형 데이터베이스 등에 관하여 연구하고 있습니다.
Web Application Store 스마트 기기의 등장으로 앱 스토어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기기의 앱과 달리 웹 기반의 앱은 브라우저만 있으면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웹 앱을 판매하는 스토어의 표준화에 관하여 연구하고 있습니다.
임베디드 소프트웨어공학연구실
■ 담당교수님 : 김세화 교수님
■ 연구분야 :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론, 실시간 운영체제, 임베디드 미들웨어
■ 홈페이지 : http://eselab.hufs.ac.kr
■ 연구실소개 :
Welcome to Embedded Software Engineering (ESE) Laboratory of Depart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Engineering at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Korea. Our research vision is:
Streamlining the embedded SW development process
Our main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s. ## Real-time kernel: scalable RTOS (Real-Time Operating Systems) + virtual machines
Run-time environment: scalable platform mapping
Integrated design methodology: logical user interface modeling + model-driven architecture
Scalability: the ability to adapt to HW platform of wide spectrum of performance
Mobile Grid and Cloud Computing Lab.
■ 담당교수님 : Sayed Chhattan Shah 교수님
■ 연구분야 : Parallel and Distributed Computing, Mobile Grid and Cloud Computing, Sensor Networks, Ad hoc Networks
■ 홈페이지 : http://mgclab.com
■ 연구실소개 :
Mobile Grid and Cloud Computing Lab is a research lab in depart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Engineering at Hankuk University of ForeignStudies Korea. MGC Lab conducts research in areas ofmobile grid computing, mobile cloud computing, ad hoc networks, and Internet of Things.
The objective of research at MGC Lab is to develop next generation of mobile and distributedcomputing systems where mobile nodes should be able to share computing resources either withpre-existing network infrastructure-based computing systems such as cloud or with other mobile nodesus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Wi-Fi Direct.
Some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topics we are actively exploring include the followings:
■ Mobile cloud computing: Computation offloading . power management . network performance . mobile cloud applications
■ Mobile ad hoc cloud computing: Resource management . power management . process migration . failure management . mobility management
■ Mobile ad hoc networks: Routing protocols . multi-hop communication using Wi-Fi Direct
■ Internet of Things: Object representation, monitoring and discovery mechanisms
멀티미디어통신연구실
■ 담당교수님 : 홍진표 명예교수님
■ 연구분야 : 비디오 스트리밍, 센서네트워크, 인터넷
■ 홈페이지 : http://mclab.hufs.ac.kr
■ 연구실소개 : MCLab은 멀티미디어 통신에 관하여 연구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다음 분야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Multimedia Streaming in Wireless Networks
유무선 환경에서 미디어 스트리밍을 위한 프로토콜들을 연구하고, 프로토콜들에 적용 가능한 개선된 알고리즘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시뮬레이션을 통해, 유무선 환경에서의 체감품질 향상을 목표로 체감품질의 지표인 PSNR, MOS 값을 산출하여 성능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뿐만아니라, 기존의 프로토콜을 통해 구현된 애플리케이션을 실제 대규모 테스트 베드 환경인 에뮬랩을 활용하여, 성능을 평가하는 연구를 수행한 바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실에서는 유무선 환경에서 미디어 스트리밍 기법의 향상 방안 및 시뮬레이션/에뮬레이션을 이용한 성능 평가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Localiz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모바일 디바이스의 보급율이 높아지면서 개인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LBS)의 출현이 증가하고 있다. LBS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실내에서의 정확한 위치 측정(Localization)알고리즘이 요구된다. 본 연구실에서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실내에서 정교한 측위를 하는 알고리즘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차세대네트워크연구실
■ 담당교수님 : 정일영 명예교수님
■ 연구분야 : 컴퓨터네트워크, 트래픽 이론, 영상처리, 컴퓨터 비전
■ 홈페이지 : http://anlab.hufs.ac.kr
■ 연구실소개 : ANLab은 차세대 네트워크에 관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다음 분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네트워크(Advenced Networks = 차세대통신망[Next generation network,NGN]의 유래)
차세대 통신망(次世代通信網, Next generation networking, NGN)은 가까운 장래에 기존의 유무선 전화 체계, 인터텟이 통합, 발전된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지칭한다. 차세대 통신망의 기저에는 목소리,
데이터, 비디오 같은 모든 종류의 매체를 하 나의 네트워크가 패킷로 변환해 이를 전송, 처리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다.
음성통신연구실
■ 담당교수님 : 김희동 명예교수님
■ 연구분야 : 음성신호처리, 정보통신시스템
■ 홈페이지 : http://vclab.hufs.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