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공학이란
정보사회를 이끄는 기술적 두 측이 바로 컴퓨터와 통신기술입니다.
두 분야 모두 산업적, 학문적으로 최근 급속히 발전하여 왔으나, 전자는 정보처리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정보의 유통과 활용 측면에서 미흡하고, 후자는 음성통신위주의 전통적인 전기통신 시스템에 역점을 둬 왔기 때문에 정보에 대한 가치를 소홀히 하여 소프트웨어와 컨텐츠 기술의 발전을 잘 활용하지 못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정보통신공학은 통신기술과 컴퓨터기술이 종합되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로 통신장비,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구현하는 종합적인 학문입니다.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장, 처리, 유통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유무선 통신, 컴퓨터, 소프트웨어 기술을 망라하여 정보의 효율적 전달과 이용을 연구하여, 인터넷, 이동통신, 차세대 네트워크, 멀티미디어 통신, 정보통신 서비스와 분산 애플리케이션, 단말, 네트워크 시스템 등을 연구하고 종합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능력을 갖추게 됩니다.
정보통신공학과는 전임교수 8명과 외국인 교수, 겸임교수 등 10명의 교수진을 갖추고, 정원 50명의 학부를 운영하고 있으며, 석사과정, 박사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장벽이 없는 인터넷 시대에 정보와 통신을 아우르는 거시적인 차원에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글로벌 IT 인재로 성장할 기회를 가지시기 바랍니다.
연혁
2019년 9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중심대학 사업 선정(2019 학년도 - )2008년 3월
지식경제부 대학IT전공역량강화(NEXT) 사업 선정(2008 - 2011 학년도)2003년 3월
정보통신부 IT학과 교과과정 개편 지원사업 선정 (2003, 2004 학년도)2001년 3월
정보통신부 IT학과 장비지원사업 선정(대학원) (2001, 2002 학년도)1995년 3월
정보통신공학과 신설 (정원 50명)역대 학과장
■ 1995년 3월 - 1997년 1월 : 홍진표
■ 1997년 2월 - 1998년 7월 : 정일영
■ 1998년 8월 - 2000년 7월 : 김명진
■ 2000년 8월 - 2002년 7월 : 한희일
■ 2002년 8월 - 2004년 7월 : 정성호
■ 2004년 8월 - 2005년 1월 : 김희동
■ 2005년 2월 - 2007년 7월 : 박상원
■ 2007년 8월 - 2009년 7월 : 김희동
■ 2009년 8월 - 2010년 1월 : 정일영
■ 2010년 2월 - 2010년 7월 : 김세화
■ 2010년 8월 - 2011년 7월 : 한희일
■ 2011년 8월 - 2012년 7월 : 홍진표
■ 2012년 8월 - 2014년 1월 : 김세화
■ 2014년 2월 - 2015년 1월 : 김명진
■ 2015년 2월 - 2015년 7월 : 김희동
■ 2015년 8월 - 2016년 7월 : 정성호
■ 2016년 8월 - 2017년 7월 : 박상원
■ 2017년 8월 - 2019년 7월 : 김세화
■ 2019년 8월 - 2020년 8월 : 김명진
■ 2020년 9월 - 2021년 7월 : 한희일
■ 2021년 8월 - 2022년 7월 : 정성호
■ 2022년 8월 - 2023년 7월 : 박상원
■ 2023년 8월 - 2025년 1월 : 김세화
■ 2025년 2월 - : 한희일